본문으로 건너뛰기

15개 문서가 "Network" 태그에 분류되었습니다

Network tag description

모든 태그 보기

CORS(Cross Origin Resource Sharing)

CORS(Cross Origin Resource Sharing)는 출처가 다른 곳의 리소스를 요청할 때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메커니즘입니다. 리소스를 주고받는 두 곳의 출처가 다르면 출처가 교차한다고 합니다. 이때 출처는 URL뿐만 아니라 프로토콜과 포트까지 포함됩니다. 만약 클라이언트의 출처가 허용되지 않았다면 CORS 에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JWT (Json Web Token)

JWT(Json Web Token) 은 통신 정보를 JSON 형식을 사용하여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JWT는 토큰 자체에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Claim 기반 토큰입니다. 일반적인 애플리케이션에서 JWT는 주로 인증과 인가를 구현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JWT는 헤더, 페이로드, 시그니처로 구분됩니다. 헤더에는 토큰의 암호화 알고리즘이나 타입을 가지며, 페이로드에는 데이터(만료일, 사용자 정보 등)를 가집니다. 시그니처는 헤더와 페이로드가 변조되지 않았는지 판단하기 위해 사용되는데요. 헤더와 페이로드를 비밀 키를 사용하여 헤더에 명시된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암호화하여 시그니처가 만들어집니다.

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

IP 주소는 공인 IP 주소(Public IP Address) 와 사설 IP 주소(Private IP Address) 가 존재합니다. 공인 IP 주소는 고유하며, 사설 IP 주소는 고유하지 않고 특정 사설 네트워크에서만 사용됩니다. 이때, 사설 네트워크는 외부 네트워크에 공개되지 않은 네트워크를 의미합니다. 사설 IP는 일반적으로 라우터가 할당하며, 할당받은 사설 IP 주소는 사설 네트워크 상에서만 유효합니다.

로드 밸런싱

로드 밸런싱이란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리소스 풀에 들어오는 네트워크 트래픽(들어오는 요청)을 균등하게 분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수행하는 로드 밸런서는 애플리케이션 서버 앞단에 위치하며 클라이언트 요청을 지시하고 제어합니다. 이를 통해서 애플리케이션의 가용성, 확장성, 보안 및 성능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웹 브라우저에 URL 입력하면 일어나는 일

예를 들어 사용자가 www.google.com을 입력하면, 브라우저는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해 구글 웹 서버와 통신하려고 합니다. HTTP는 OSI 7계층 중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동작하는 프로토콜입니다.